부모 말투가 아이 뇌를 바꿔요! 36개월 이하 육아 금지어 총정리!

요즘 SNS를 보면 아기가 꼭 먹어야 하는 필수 영양제라고 하며 "비타민D" 공구를 많이 하고 있더라구요. 맘카페에서는 “우리 아기 비타민D 영양제 추천해주세요”라는 글을 정말 많이 볼 수 있고요.
많은 엄마들이 비타민D가 무조건 필요한 줄 알고 구매하곤 하는데, 과연 모든 아기에게 정말 필요한 걸까요?
오늘은 모유·분유 수유별 비타민D 보충 가이드를 정확하게 알려드릴게요.
대한소아과학회와 WHO(세계보건기구)는 모유 수유아의 경우, 생후 2개월 내에 하루 400IU(10μg)의 비타민D를 반드시 보충할 것을 권고하고 있어요.
모유에는 비타민D가 매우 적게 들어있어요. 모유 1L당 비타민 D 함량은 실제로 20~80IU/L 정도로, 하루 권장량(400IU)의 5~20% 수준에 불과합니다.
즉, 모유만으로는 아기의 구루병 예방에 필요한 비타민D를 채울 수 없기 때문에 반드시 보충이 필요합니다.
대부분의 조제 분유에는 비타민D가 강화되어 있어요. 대한민국 식품의약품안전처(식품공전, 2024년 기준)에 따르면, 조제분유 100ml당 1.2~1.3μg의 비타민D가 함유되어 있습니다.
이를 국제단위(IU)로 환산하면 48~52 IU입니다.
즉, 분유를 먹는 아기들은 하루 수유량만으로도 비타민D를 상당 부분 충족할 수 있어요.
수유량으로 계산을 한다면,
✅ 500ml 수유 시
48IU × 5 = 240IU
52IU × 5 = 260IU
✅ 770ml 수유 시
48IU × 7.7 = 약 370IU
52IU × 7.7 = 약 400IU
꼭 그런 것은 아니에요! 다음의 경우에는 소아과 전문의와 상의해 보충제를 고려할 수 있어요.
✅ 분유 섭취량이 770ml 이하인 경우
✅ 특정 질환으로 비타민D 흡수가 저하된 경우
✅ 소아과 전문의가 특별히 권장하는 경우
비타민D는 지용성 비타민으로 과다 복용 시 부작용이 있을 수 있어요.
과다 복용 위험: NIH 기준 1세 미만의 최대 허용량은 1,000~1,500IU/일
과잉 증상: 고칼슘혈증, 구토, 식욕부진, 신장 기능 이상
대한소아과학회(2023) 보고에 따르면, 분유 수유아의 불필요한 보충제로 인한 혈청 비타민D 과잉 사례가 17%나 차지 한다고 합니다.
Q: “분유 600ml + 모유
200ml 먹는 아이는 어떻게 해야 하나요?”
A: 모유 부분만큼 추가
보충이 필요해요.
400IU × (200/800) = 약 100IU 추가 보충 필요
정확한 보충량은 소아과 전문의와 상담하세요!
6개월 이후 이유식(특히 비타민D 강화 곡물, 생선 등)을 시작하면 보충제 의존도를 30% 줄일 수 있어요(한국영양학회, 2023). 하지만 모유 수유 위주라면 여전히 보충제는 필수랍니다.
“겨울철(11~2월)에는 햇빛 노출 부족으로 북부 지역 아기의 40%는 추가 보충이 필요하다는 서울대 연구 결과(2024)가 있어요. 단, 보충제의 과용은 피하고 소아과 상담을 최우선으로 하세요.”
✅ 모유 수유아: 생후 2개월
내 400IU/일 보충 필수
✅ 분유 수유아: 770ml/일
이상 수유 시 일반적으로 불필요
✅ 혼합 수유아: 모유 비율에
따라 보충량 조정 (소아과 상담 권장)
✅ 6개월 이후: 이유식으로 자연 보충 가능 여부도 고려
SNS 정보에 휩쓸리지 말고, 우리 아기만의 상황을 고려한 선택을 해주세요! 혹시 헷갈리신다면 주변 엄마들의 추천보다 전문의의 조언을 먼저 들어보시길 권해드려요.
“모든 아기에게 똑같은 답은 없습니다. 우리 아이의 상황에 맞는 최선의 선택을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