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 말투가 아이 뇌를 바꿔요! 36개월 이하 육아 금지어 총정리!

이미지
아이가 자라면서 부모도 함께 자란다는 말, 공감되시나요? 하지만 그 과정에서 때로는 지치고 예민해진 마음 에 무심코 튀어나온 말 한마디가 아이의 마음에 상처로 남을 때가 있어요. 특히 생후 36개월 이하 는 아이 뇌 발달에 있어 결정적으로 중요한 시기, 이른바 뇌의 골든타임 입니다. 이 시기에 어떤 언어 환경을 접하느냐에 따라 아이의 정서, 사고력, 자기조절력까지 달라질 수 있어요. 🧠 뇌과학자들이 말하는 ‘말의 힘’ MIT와 하버드대 공동 연구에 따르면, 부모와 아이가 주고받는 대화의 횟수 가 많을수록 아이의 언어중추인 브로카 영역이 더 활성화된다고 해요. 또한 국내 연구에서도 12개월 영아의 언어 및 인지 발달은 가정 내 언어자극의 질 에 크게 좌우된다고 밝혀졌습니다. ❌ 아기에게 하면 안 되는 말 5가지 1. “엄마 힘들어. 그만 좀 해” 부모도 사람이기에 지칠 수 있어요. 하지만 이런 말은 아이에게 죄책감 을 심고, 감정을 억누르는 아이로 만들 수 있어요. 🧠 연구: 지속적인 부정적 언어는 뇌의 스트레스 반응 회로를 자극합니다. 2. “울지 마” / “왜 또 울어?” 울음은 아기의 감정 표현이에요. 이를 억제하면 감정을 해소하는 통로가 막혀버려요. 🧠 연구: 감정 표현이 억제된 아동은 자기조절력 발달이 저하됩니다. 3. “안돼!” / “하지 마!” 금지는 간단하지만, 아이가 하고자 하는 탐색과 실험 본능 을 꺾을 수 있어요. 🧠 연구: 반복적 금지 언어는 뇌의 학습회로 형성을 방해합니다. 4. “왜 또 그래?” / “그것도 못 해?” 이 말은 아이의 자존감 을 무너뜨리는 말이에요. 실수는 성장의 일부인데, 자꾸 비교받거나 지적당하면 ‘나는 못하는 아이야’라는 고정된 사고 를 갖게 돼요. 5. “다 컸잖아” / “혼자 해봐” 아직 정서적 안정이 필요한 시기. 이 시점의 독립 요구는 아이에게 불안감 을 줍니다. 🧠 연구: 애착이 ...

저지레 심한 아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존중 vs 훈육이 고민된다면 이 3가지를 확인해 보세요!

저지레 심한아이

요즘 우리 아이, 저지레 만렙이다~ 하시는 분 손!

바닥에 물 엎지르고, 온갖 물건이란 물건은 모두 꺼내 흩어 놓고… 정말 이 아이가 요즘 왜 이럴까? 엄마의 속은 까맣게 타 들어가죠.

그런데 말이에요! 이렇게 엉망진창으로 보이는 저지레가 사실은 아이가 세상을 배우는 소중한 순간이라는 걸 알고 계셨나요?  

아이들은 만지고, 흘리고, 던지면서, 세상의 규칙을 배우고, 몸을 쓰며 발달하고, 감각을 깨우며 자라나고 있는 거에요.

그러다 보니 “이걸 그냥 두면 될까? 안돼! 해야 할까?”  존중과 훈육 사이에서 매번 고민하게 되죠.


이럴 땐, 이 3가지 질문을 먼저 생각해 보세요!

1️⃣ 안전 – 위험한가요?

저지레를 하더라도 아이가 다치면 안돼요. 위험한 물건은 없는지 꼭 살펴봐 주세요.

2️⃣ 예의 – 다른 사람에게 피해를 주나요?

세상은 함께 살아가는 곳!

아이의 저지레가 다른 사람에게 피해가 되지 않는지, 조금은 객관적으로 확인해 주세요.

3️⃣ 적응 – 기관에서 문제가 될 수 있나요?

  어린이집이나 유치원에서도 할 수 있는 행동인지, 또래들과 어울릴 때도 괜찮을지 생각해 보세요.


💡 부모가 할 수 있는 대처

너그러이 받아주기

저지레는 성장의 일부! 너무 혼내기보단 “또 새로운 걸 배우고 있구나” 하고 여유 있게 바라봐 주세요.

안전한 환경 만들어주기

위험하거나 깨지기 쉬운 건 미리 정리해 주면, 저지레도 안전하게 즐길 수 있어요.

놀이로 연결하기

촉감 놀이, 미술 놀이처럼 아이의 에너지를 긍정적으로 분출할 수 있는 활동을 해 주세요.

정리 습관 가르치기

놀이가 끝나면 “같이 정리해볼까?” 하고 천천히 함께 정리 습관을 알려 주세요.


저지레는 아이가 세상과 만나고 배우는 과정이에요.
상황에 따라 조절할 기회를 주면서, 아이의 성장을 함께 지켜봐 주세요.

안전, 예의, 적응 이 3가지를 꼭 잊지 말고, 상황에 따라 조절할 기회를 주면서 아이의 성장을 함께 지켜봐 주세요!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출산 후 첫 7일, 왜 이렇게 힘든 걸까요?

2025 육아휴직 급여 신청방법 조건 한눈에 보기!

영유아 모방본능・탐구본능・파괴본능 이해하기